제품을 직접 운영하는 대표님·마케터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것
브랜드를 운영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단순한 '매출'이 아닙니다.
"내가 이 제품을 팔아서 진짜 얼마를 남기느냐",
"어디에 투자하면 더 이익을 낼 수 있느냐"를 정확히 아는 것이 핵심입니다.
이번에는 이커머스 AI 솔루션의 판매 분석 기능을 활용해,
판매수 / 매출액 / 객단가 데이터를 기반으로
순이익 중심의 운영 전략을 세우는 방법을 소개합니다.
판매 중인 제품 데이터를 등록하면,
다음과 같은 주요 지표를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① 판매수 (판매 건수)
② 매출액 (총 판매 금액)
③ 객단가 (1건당 평균 판매 금액)
④ 예상 순이익 (수수료·원가 차감 후 실제 이익)
이 데이터를 기반으로
"내 제품이 실제 얼마의 이익을 내고 있는지",
"목표 이익을 달성하려면 몇 개를 팔아야 하는지"까지 구체적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.
운영자 입장에서 꼭 봐야 할 포인트
1. 월간 목표 이익 설정 → 필요한 판매수 역산
•
예를 들어,
◦
상품당 순이익 8,000원,
◦
월 목표 이익 800만 원이라면
→ 월 최소 1,000개 판매가 필요합니다.
목표를 숫자로 명확히 설정하면,
•
광고 예산 규모
•
프로모션 강도
•
시즌별 판매량 목표
등 모든 실행 계획이 훨씬 구체적이고 현실적으로 세워집니다.
2. 객단가 상승 전략까지 설계
•
객단가가 평균 25,000원이라면,
◦
세트 상품 구성
◦
추가 옵션 판매
◦
업셀링 제안
등으로 객단가를 30,000원 이상으로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.
단순히 판매수만 늘리는 게 아니라,
1건당 이익을 높이는 전략을 함께 추진할 수 있습니다.
3. 가격 인상·할인 시뮬레이션
•
가격을 5% 올리거나
•
특정 시즌에 한정 할인할 경우
매출과 이익이 어떻게 변동될지 시뮬레이션할 수 있습니다.
이를 통해 가격 정책에 따른 리스크를 미리 파악하고,
가장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가격 정책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
마무리
브랜드를 키우고 싶은 대표님,
성과를 숫자로 증명해야 하는 마케터라면,
이제 단순 매출이 아니라 순이익 중심으로 사고해야 합니다.